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는 노르웨이가 1위를 차지했고, 벨기에, 폴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9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진행된 이 예선에서 노르웨이는 9승 1무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벨기에와 폴란드는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며 본선 진출을 노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유럽 지역 예선 각 조 2위 팀들이 참가하여 본선 진출 자격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을 놓고 경쟁했으며, 최종 순위에 따라 상위 2팀은 여자 월드컵 본선에, 최하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E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E조는 덴마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몰타, 아제르바이잔, 러시아가 속했으나 러시아의 실격으로 덴마크가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하고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 |
---|---|
대회 정보 | |
참가 팀 수 | 6 |
경기장 수 | 7 |
결과 | |
1위 | 스웨덴 |
2위 | 아일랜드 |
3위 | 핀란드 |
4위 | 슬로바키아 |
5위 | 조지아 |
6위 | 룩셈부르크 |
통계 | |
총 득점 | 57 골 |
경기당 득점 | 3.17 골 |
최다 득점자 | 코소바레 아슬라니 (6 골) |
2.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노르웨이 | 10 | 8 | 1 | 1 | 56 | 7 | +49 | 25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직행 |
2 | 벨기에 | 10 | 6 | 2 | 2 | 28 | 9 | +19 | 20 | 플레이오프 진출 |
3 | 폴란드 | 10 | 5 | 1 | 4 | 44 | 13 | +31 | 16 | 본선 진출 실패 |
4 | 알바니아 | 10 | 5 | 1 | 4 | 21 | 28 | -7 | 16 | 본선 진출 실패 |
5 | 코소보 | 10 | 2 | 1 | 7 | 8 | 35 | -27 | 7 | 본선 진출 실패 |
6 | 아르메니아 | 10 | 1 | 0 | 9 | 3 | 68 | -65 | 3 | 본선 진출 실패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경기 결과
연도 월 일 홈 팀 결과 원정 팀 경기장 2021 9 16 노르웨이 10 - 0[4] 아르메니아 울레볼 경기장, 오슬로 2021 9 16 알바니아 1 - 1 코소보 엘바산 아레나, 엘바산 2021 9 17 폴란드 1 - 1 벨기에 그단스크 경기장, 그단스크 2021 9 21 아르메니아 0 - 1[4] 폴란드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 예레반 2021 9 21 코소보 0 - 3 노르웨이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 프리슈티나 2021 9 21 벨기에 7 - 0 알바니아 보두앵 국왕 경기장, 브뤼셀 2021 10 21 알바니아 5 - 0[4] 아르메니아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너 2021 10 21 벨기에 7 - 0[4] 코소보 덴 드레이프, 뢰번 2021 10 21 폴란드 0 - 0[4] 노르웨이 비제바 시립경기장, 우치 2021 10 26 아르메니아 0 - 1[4] 코소보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 예레반 2021 10 26 노르웨이 4 - 0[4] 벨기에 울레볼 경기장, 오슬로 2021 10 26 폴란드 2 - 0[4] 알바니아 티히 시립경기장, 티히 2021 11 25 코소보 1 - 2[4] 폴란드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 프리슈티나 2021 11 25 벨기에 19 - 0[4] 아르메니아 덴 드레이프, 뢰번 2021 11 25 알바니아 0 - 7[4] 노르웨이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너 2021 11 30 아르메니아 0 - 10[4] 노르웨이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경기장, 예레반 2021 11 30 코소보 1 - 3[4] 알바니아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 프리슈티나 2021 11 30 벨기에 4 - 0[4] 폴란드 덴 드레이프, 뢰번 2022 4 7 노르웨이 5 - 1[4] 코소보 산데표르 아레나, 산데표르 2022 4 7 알바니아 0 - 5 벨기에 엘바산 아레나, 엘바산 2022 4 7 폴란드 12 - 0 아르메니아 스타디온 미에이스키 브 그디니, 그디니아 2022 4 12 아르메니아 0 - 4 알바니아 아르마비르 시립 경기장, 아르마비르 2022 4 12 노르웨이 2 - 1 폴란드 울레볼 경기장, 오슬로 2022 4 12 코소보 1 - 6 벨기에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 프리슈티나 2022 9 1 알바니아 1 - 2 폴란드 엘바산 아레나, 엘바산 2022 9 1 코소보 2 - 1 아르메니아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 프리슈티나 2022 9 2 벨기에 0 - 1 노르웨이 덴 드레이프, 뢰번 2022 9 6 아르메니아 0 - 7 벨기에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경기장, 예레반 2022 9 6 노르웨이 5 - 0 알바니아 울레볼 경기장, 오슬로 2022 9 6 폴란드 7 - 0 코소보 아레나 루블린, 루블린
3. 1. 2021년 경기
2021년에 열린 F조 예선 경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9월에는 총 6경기가 열렸다. 노르웨이는 아르메니아를 10-0으로 대파하며 F조 예선을 기분 좋게 시작했다.[4] 알바니아와 코소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폴란드와 벨기에도 1-1로 비겼다. 이후 아르메니아는 폴란드에 0-1로 패했고,[4] 코소보는 노르웨이에 0-3으로 졌다. 벨기에는 알바니아를 7-0으로 크게 이겼다.
10월에는 알바니아가 아르메니아를 5-0으로 완파하고,[4] 벨기에는 코소보를 7-0으로 대파했다.[4] 폴란드와 노르웨이는 0-0으로 비겼다.[4] 코소보는 아르메니아 원정에서 1-0 승리를 거두었고,[4] 노르웨이는 벨기에를 4-0으로 꺾었다.[4] 폴란드는 알바니아를 2-0으로 이겼다.[4]
11월에는 코소보가 폴란드에 1-2로 패하고,[4] 벨기에가 아르메니아를 19-0으로 대파했다.[4] 알바니아는 노르웨이에 0-7로 대패했다.[4] 아르메니아는 노르웨이에 0-10으로 크게 졌고,[4] 코소보는 알바니아에 1-3으로 패했다.[4] 벨기에는 폴란드를 4-0으로 완파하며 2021년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4]
3. 1. 1. 9월
2021년 9월 16일, 노르웨이는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10-0 대승을 거두었다.[4] 같은 날 알바니아와 코소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17일에는 폴란드와 벨기에가 1-1로 비겼다.
9월 21일, 아르메니아는 폴란드에 0-1로 패했다.[4] 코소보는 노르웨이에 0-3으로 졌고, 벨기에는 알바니아를 7-0으로 크게 이겼다.
경기일 | 국가 | 결과 | 국가 |
---|---|---|---|
2021년 9월 16일 | 노르웨이 | 10 - 0[4] | 아르메니아 |
2021년 9월 16일 | 알바니아 | 1 - 1 | 코소보 |
2021년 9월 17일 | 폴란드 | 1 - 1 | 벨기에 |
2021년 9월 21일 | 아르메니아 | 0 - 1[4] | 폴란드 |
2021년 9월 21일 | 코소보 | 0 - 3 | 노르웨이 |
2021년 9월 21일 | 벨기에 | 7 - 0 | 알바니아 |
3. 1. 2. 10월
2021년 10월 21일, 알바니아는 아레나 콤바타레에서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5-0 완승을 거두었다. 이날 경기에서 메기 도치(2골), 미모자 하미디(2골), 에시 루포가 득점에 성공했다.[4] 같은 날 벨기에는 덴 드레이프에서 코소보를 7-0으로 대파했다. 쥐스틴 판하버르마트(2골), 야니서 카이만, 테사 뷜라르트(3골), 티너 더 카이니가 벨기에의 득점을 기록했다.[4] 폴란드는 비제바 시립경기장에서 노르웨이와 0-0 무승부를 거두며, 노르웨이의 연승 행진을 저지했다.[4]10월 26일, 아르메니아는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에서 코소보에 0-1로 패배했다. 코소보의 리리도나 실라가 결승골을 기록했다.[4] 노르웨이는 울레볼 경기장에서 벨기에를 4-0으로 꺾고 다시 승리했다. 구로 베리스반, 카롤리너 그라함 한센, 엘리사벳 테를란, 잉리 쉬스타드 엥엔이 득점했다.[4] 폴란드는 티히 시립경기장에서 알바니아를 2-0으로 이겼다. 파울리나 두데크가 페널티킥으로, 마우고르자타 메시아시가 추가골을 넣었다.[4]
경기일 | 경기 | 결과 | 경기장 | 비고 |
---|---|---|---|---|
2021년 10월 21일 | 알바니아 5 - 0 아르메니아 | 5 - 0 |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너 | 메기 도치(2골), 미모자 하미디(2골), 에시 루포 득점[4] |
2021년 10월 21일 | 벨기에 7 - 0 코소보 | 7 - 0 | 덴 드레이프, 뢰번 | 쥐스틴 판하버르마트(2골), 야니서 카이만, 테사 뷜라르트(3골), 티너 더 카이니 득점[4] |
2021년 10월 21일 | 폴란드 0 - 0 노르웨이 | 0 - 0 | 비제바 시립경기장, 우치 | [4] |
2021년 10월 26일 | 아르메니아 0 - 1 코소보 | 0 - 1 |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 예레반 | 리리도나 실라 득점[4] |
2021년 10월 26일 | 노르웨이 4 - 0 벨기에 | 4 - 0 | 울레볼 경기장, 오슬로 | 구로 베리스반, 카롤리너 그라함 한센, 엘리사벳 테를란, 잉리 쉬스타드 엥엔 득점[4] |
2021년 10월 26일 | 폴란드 2 - 0 알바니아 | 2 - 0 | 티히 시립경기장, 티히 | 파울리나 두데크, 마우고르자타 메시아시 득점[4] |
3. 1. 3. 11월
2021년 11월 25일, 코소보는 폴란드에 1-2로 패했다. 코소보의 리리도나 실라가 경기 시작 4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폴란드의 카롤리나 게츠와 마르티나 비안코프스카가 각각 17분과 34분에 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4] 같은 날 벨기에는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19-0 대승을 거두었다. 벨기에의 한나 외를링스가 2골, 테사 뷜라르트가 5골, 사라 바이난츠가 1골, 암버르 티시악이 3골, 틴 더 케이니가 3골, 쥐스틴 판하버르마트가 1골, 야르너 퇼링스가 2골, 야니서 케이만이 2골을 기록했다.[4] 알바니아는 노르웨이에 0-7로 대패했다. 노르웨이의 프리다 모눔이 2골, 구로 레이텐, 마리아 토리스도티르, 카리나 세비크, 빌더 하순, 엘리자베스 테를란이 각각 1골씩을 넣었다.[4]11월 30일, 아르메니아는 노르웨이에 0-10으로 크게 졌다. 노르웨이의 엘리자베스 테를란이 2골, 리사 마리 칼셍 우틀란이 2골, 프리다 모눔, 구로 레이텐, 안야 쇤스테볼, 구로 베리스반, 셀린 비세 일후쇠위가 각각 1골, 잉리 쉬스타드 엥엔이 페널티킥으로 1골을 추가했다.[4] 코소보는 알바니아에 1-3으로 패했다. 코소보의 칼트리나 비카이가 1골을 넣었지만, 알바니아의 크리스티나 막수티, 메기 도치, 첸드레사 크라스니지가 각각 1골씩을 넣어 알바니아가 승리했다.[4] 벨기에는 폴란드를 4-0으로 완파했다. 벨기에의 틴 더 케이니, 한나 외를링스, 야니서 케이만이 각각 1골을 넣었고, 폴란드의 마우고르자타 메시아시가 자책골을 기록했다.[4]
경기일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홈팀 득점 선수 | 원정팀 득점 선수 |
---|---|---|---|---|---|
2021년 11월 25일 | 코소보 | 1-2 | 폴란드 | 리리도나 실라 (4') | 카롤리나 게츠 (17), 마르티나 비안코프스카 (34) |
2021년 11월 25일 | 벨기에 | 19-0 | 아르메니아 | 한나 외를링스 (3, 30), 테사 뷜라르트 (5, 34, 51, 90, 90+2), 사라 바이난츠 (8), 암버르 티시악 (10, 24, 72), 틴 더 케이니 (17, 28, 33), 쥐스틴 판하버르마트 (39), 야르너 퇼링스 (78, 90+4), 야니서 케이만 (81, 88') | |
2021년 11월 25일 | 알바니아 | 0-7 | 노르웨이 | 프리다 모눔 (23, 77), 구로 레이텐 (60), 마리아 토리스도티르 (62), 카리나 세비크 (72), 빌더 하순 (81), 엘리자베스 테를란 (84') | |
2021년 11월 30일 | 아르메니아 | 0-10 | 노르웨이 | 엘리자베스 테를란 (31, 34), 리사 마리 칼셍 우틀란 (43, 56), 프리다 모눔 (47), 구로 레이텐 (51), 안야 쇤스테볼 (59), 구로 베리스반 (63), 셀린 비세 일후쇠위 (69), 잉리 쉬스타드 엥엔 (81 পেন.) | |
2021년 11월 30일 | 코소보 | 1-3 | 알바니아 | 칼트리나 비카이 (45+3') | 크리스티나 막수티 (19), 메기 도치 (45), 첸드레사 크라스니지 (83') |
2021년 11월 30일 | 벨기에 | 4-0 | 폴란드 | 틴 더 케이니 (15), 한나 외를링스 (33), 야니서 케이만 (38), 마우고르자타 메시아시 (51 자책골) |
3. 2. 2022년 경기
2021년 하반기와 2022년에 걸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경기가 진행되었다.2021년 9월 16일, 노르웨이는 울레볼 경기장에서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10-0 대승을 거두었다.[4] 같은 날 알바니아와 코소보는 엘바산 아레나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고,[4] 폴란드와 벨기에는 그단스크 경기장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다.[4]
9월 21일, 아르메니아는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에서 폴란드에 0-1로 패배했고,[4] 코소보는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에서 노르웨이에 0-3으로 패배했다.[4] 벨기에는 보두앵 국왕 경기장에서 알바니아를 7-0으로 대파했다.[4]
10월 21일, 알바니아는 아레나 콤버타레에서 아르메니아를 5-0으로 이겼고,[4] 벨기에는 덴 드레이프에서 코소보를 7-0으로 대파했다.[4] 폴란드는 비제바 시립경기장에서 노르웨이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4]
10월 26일, 아르메니아는 바즈겐 사르그샨 공화경기장에서 코소보에 0-1로 패했고,[4] 노르웨이는 울레볼 경기장에서 벨기에를 4-0으로 이겼다.[4] 폴란드는 티히 시립경기장에서 알바니아를 2-0으로 이겼다.[4]
11월 25일, 코소보는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에서 폴란드에 1-2로 패했고,[4] 벨기에는 덴 드레이프에서 아르메니아를 19-0으로 대파했다.[4] 알바니아는 아레나 콤버타레에서 노르웨이에 0-7로 패했다.[4]
11월 30일, 아르메니아는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경기장에서 노르웨이에 0-10으로 대패했고,[4] 코소보는 스타디우미 파딜 보크리에서 알바니아에 1-3으로 패했다.[4] 벨기에는 덴 드레이프에서 폴란드를 4-0으로 이겼다.[4]
2022년에도 경기는 계속되었다.
3. 2. 1. 4월
18:00 UTC+218:30 UTC+2
20:15 UTC+2
14:30 UTC+4
19:00 UTC+2
20:00 UTC+2